인연

서로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하얀집 2020. 1. 15. 16:40

서로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서로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화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고전으로서<탈무드>에 있는 가르침이다.
화해를 하려고 할 때에 한쪽만이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는 화해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왜냐하면 타협으로부터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양쪽이 모두 자신들의 잘못을 시인하여,



대립 관계에서 벗어나
대등 관계로 바뀌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싸움을 한 사람은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해야 한다.

설령 자기에게 잘못이 없다고 해도
무엇인가를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화해의 원칙인 것이다
한쪽의 잘못만은 인정하고 화해가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결국 그 한쪽의 잘못을
비난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이것으로는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서로가 잘못을 인정하고 그것을 비는 것이
가장 좋은 화해의 방법이다.

=탈무드= <받은메일 옮김>



마음의 3대 악을 줄이자.



마음의 3대 악을 줄이자
마음의 3대 악이 있습니다.
의심, 근심, 욕심이 그것입니다.

의심은 마음의 고름이요,
근심은 마음의 주름이요,
욕심은 마음의 기름입니다.

의심은 믿지 못하는 마음입니다.
믿음에 상처가 난 마음입니다.
있는 그대로 믿지 못하는 마음 입니다.
썩어 들어가는 마음의 고름입니다.



근심은 속을 태우는 마음입니다.
속이 타들어가는 아픈 마음입니다.

제 자리에 있지 못하는 마음입니다.
쇠하여 생기는 마음의 주름입니다.

욕심은 분수에 넘치는 마음입니다.
지나치게 얻으려는 마음입니다.

자신을 멈추지 못하는 마음입니다.
먹고 또 먹고 싶은 마음의 기름입 니다.



의심 때문에 믿지 못합니다.
근심 때문에 편안하지 못합니다.
욕심 때문에 멈추지 못합니다.
의심, 근심, 욕심이 늘어날수록
삶이 무거워지고 괴로워집니다.

의심이라는 마음의 고름은 짜내고
근심이라는 마음의 주름은 펴고
욕심이라는 마음의 기름은 빼야 합니다.

의심, 근심, 욕심이 줄어들수록
삶이 가벼워지고 즐거워집니다.

내 마음을 들여다 봅니다.
늘어난 의심, 근심, 욕심을 줄이니
어제보다 한결 가벼운 오늘이 됩니다.

- 좋은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