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격의 없이 서로 농을 즐기자고 해놓고
대사께서 과인을 부처님 같다고 하면 어쩝니까?”
“예, 본시 돼지의 눈에는 모든 것이 돼지로 보이고 부처의 눈에는 모든 것이 부처님으로 보이기 때문이지요.”
옛 일화처럼 청안으로 보면 모든 것이 부처로 보이고 백안으로 보면 세상만사가 돼지로 보이게 마련입니다.
불교 능엄경에는
일수사견(一水四見)이란 말이 나옵니다
같은 물이지만 천계에 사는 神은 보배로 장식된 땅으로
보고, 인간은 물로 보고, 아귀는 피고름으로 보고,
물고기는 보금자리로 본다는 뜻입니다.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각각 생각하는 견해가
다름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입니다.
결국 사람은 자신이 보는 시각대로 세상을 보고 살아가게되는 것입니다.
청안으로 보면 세상에 사랑이 가득하겠지만 백안으로 보면 미운 사람밖에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돼지로 가득찬 세상을 살아간다면 얼마나 비극적일까요.
豕眼見惟豕 佛眼見惟佛 시안 견유시 불안견 유불"이 세상 모든 것은 오직 돼지로 보이고 부처님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이 오직 부처로 보인다".
오늘은 당신이 눈으로 보는 모든 것이 즐거움이 넘치
고... 오늘은 당신이 손으로 만지는 것마다 신이 나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당신이 예쁜 입술로 말을 할 때마다 모든 이에게
합박웃음을 전해주고 오늘은 당신이 귀로 듣는 것 마다
모두 기쁨이 넘치는 행복한 하루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감사하는 마음으로 건강하고 안전하게 최선을
다하여 보람있는 멋진 하루가 되시길 응원합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