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萬相 不如 心相"기독 , 불교 2020. 11. 12. 13:35
<table width="99%" class="__se_tbl_ext __se_tbl_ext __se_tbl_ext"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br><tbody><br><tr><td align="left" valign="top" style="line-height: 16px; padding-top: 3px;"><br></td></tr></tbody></table><p><br></p><p>&nbsp;</p><p><!-- --><br></p><div style="font-family: 굴림, 굴림체, Gulim, Baekmuk Dotum, Undotum, Apple Gothic, Latin font, sans-serif; font-size: 12px;"><br><table width="100%" class="__se_tbl_ext __se_tbl_ext __se_tbl_ext"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br><tbody><br><tr><br><td valign="top" style="padding: 8pt;"><br><div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5; font-family: 돋움; font-size: 10p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rowser: msie;"><br><div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5; font-family: 돋움; font-size: 10p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rowser: msie;"><br><div style="color: rgb(51, 51, 51); line-height: 1.5; font-family: 돋움; font-size: 10p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rowser: msie;"><br><table width="600" align="center" class="__se_tbl_ext __se_tbl_ext __se_tbl_ext" bgcolor="#00d8ff" border="15" cellspacing="3"><br><tbody><br><tr><br><td><br><table width="600" align="center" class="__se_tbl_ext __se_tbl_ext __se_tbl_ext" bgcolor="yellow" border="5" cellspacing="3"><br><tbody><br><tr><br><td bgcolor="#e0d7b9"><br><p style="text-align: center;"><font face="굴림" size="5"><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12pt;"></span><br></font></font><span><font color="#ff0000"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size: 12pt;"></span><font color="#000000"><strong><font size="5"><span style="color: rgb(255, 255, 255); font-family: arial, sans-serif; font-size: 36pt; background-color: rgb(255, 0, 0);">"萬相 <br>不如 心相"</span></font></strong></font></font></span></p><span><font color="#ff0000" style="font-size: 14pt;"><font color="#000000"><strong><font size="5"><br><p style="text-align: center;"><br></p></font></strong><strong><font size="2"><span style="font-size: 18pt;">착한 심상은 사주팔자를 바꾼다</span></font></strong> </font><br><p><strong><font color="#000000">중국 당나라 후기에, 마의선사(麻衣禪師)는 주로 삼베옷을 즐겨 입었는데, 그는 천문, <br>지리, 주역, 기문, 둔갑, 명리 등에 통달하였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nbsp;</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런 그가 50살이 넘어서 아들 둘을 낳았는데, 늦게 본 자식인지라 <br>금지옥엽(金枝玉葉)으로 키웠다. </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그러던 어느 날 아이들을 문득 보니, 열 살이 훌쩍 넘은 소년이 되었기에 <br>사주팔자(四柱八字)로 아이들의 장래를 감정해 보기로 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랬더니 큰아들은 재상이 되고, 작은아들은 거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그래서 아이들을 불러 앉혀놓고, 운명감정의 결과에 대해서 이야기를 <br>했다.</font></strong></p><br><p>&nbsp;</p><br><p><strong><font color="#000000">“첫째야, 너는 이 다음에 나라의 재상이 될 팔자이니 열심히 공부를 하여라. <br></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둘째야, 너는 거지팔자를 타고 났으니 그냥 놀고 잘 먹기나 하여라! <br>이 <br>애비가 틀린 적이 한 번도 없으니 너희도 사주팔자대로 사는 수밖에 더 있겠느냐.”</font></strong></p><br><p>&nbsp;</p><br><p><strong><font color="#000000">거지팔자라는 소리에 충격을 받은 둘째 아들은 ‘거지팔자라면 집에 있을 필요가 없지 <br>않은가’ 하고 아버지에게 작별 인사를 고하고 노잣 돈 몇 푼을 받아 가지고 세상 속으로 나갔다.</font></strong></p><br><p><strong><br><font color="#000000">그러던 어느 날 가졌던 돈이 다 떨어졌고, 아버지의 말처럼 거지 노릇을 할 수 <br>밖에 없게 되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래서 얻어먹을 곳을 찾다가 큰 부잣집 하나를 <br>발견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밥 좀 주세요” 하고 구걸을 하여, 게 눈 감추듯 밥 한 그릇을 비웠지만, 다음 <br>끼니가 또 걱정되었다.</font></strong></p><br><p><br><strong><font color="#000000">그때 시끄러운 소리가 들려오기에 돌아보았더니, 들에 나가 일하던 <br>머슴들이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잠자리, 먹거리 걱정을 하지 않는 그들이 부러웠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래서, 머슴이 되기로 작정하고 주인에게 간청을 하여, 그날부터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일을 <br>하였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2년쯤 지났을 때 주인이 곳간지기로 발탁을 하였다. </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는 더욱 열심히 일을 했다.</font></strong></p><br><p>&nbsp;</p><br><p><strong><font color="#000000">이에 감동을 한 주인이 무남독녀인 자기 딸과 혼인을 시키려고 하였다. <br><strong><font color="#000000">그래서, 둘째 아들은 부모님께 허락을 받으려고 옛 집을 다시 <br>찾아갔다.</font></strong></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그 동안 둘째 아들이 살았는지 죽었는지 소식을 몰라서 애태우던 마의선사(麻衣禪師)는 <br>늠름한 청년으로 성장한 둘째 아들을 보고 매우 깜짝 놀랐다. <strong><font color="#000000">둘째의 얼굴이 재상 감으로 변해 <br>있었기 때문이다.</font></strong></font></strong></p><strong><font color="#000000"><br><p><br>거지팔자를 타고난 둘째 아들은 자신의 노력으로 나중에 재상까지 하게 되었다.</p></font></strong><br><p><strong><font color="#000000">한편, 재상이 될 팔자라고 했던 큰 아들은 늘 방탕한 생활을 즐겼으며 결국 나중에는 <br>거지가 되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거지가 된 큰 아들의 얼굴을 보니까 거지가 될 상으로 이미 변해 <br>있었다.<strong><font color="#000000">마의선사(麻衣禪師)는 후세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훈을 <br>남겼다.</font></strong></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u><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size: 18pt;"><span style="font-size: 24pt;">“사주불여신상<strong><font color="#000000"><u> </u>(四柱不如身相)하고, <br>신상불여심상 (身相不如心相)”이다. <br></font></strong></span></span></span></u></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br></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즉 “사주(四柱)는 신상(身相) 보다 못하고, 신상(身相)은 심상(心相)보다 못하다.” <br>결국, 심상(心相)이 가장 으뜸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font></strong></p><strong><font color="#000000"><br><p><br>모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고 보기 나름입니다.<br>당신이 생각하는 것이 당신을 만듭니다. <br>우리들은 생각을 바꿈으로써 인생을 <br>바꿀 수가 있습니다.” </p><br><p>&nbsp;</p></font></strong><br><p><strong><font color="#000000">말하자면,<br>행복을 생각하면 행복해지고, <br>비참한 생각을 하면 비참해지고, <br><br>병적인 생각을 하면 정말 아프고, <br>실패를 생각하면 정말 실패한다는 이야기입니다.</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nbsp;</font></strong></p><br><p><strong><font color="#000000">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가 말하는 <br></font></strong></p><br><p><font color="#000000"><strong>생각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strong></font></p><br><p><font color="#000000"><strong>습관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br>행동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br>성격이 바뀌면 <br>인격이 바뀌고,<br>인격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strong></font></p><br><p><font color="#000000"><strong>는 말과 일맥상통 하다고 말 할수 있다. </strong></font></p><br><p><font color="#000000"><strong>&nbsp;</strong></font></p></font></span><font color="#000000" size="3"><br></font><center><br></center></td></tr></tbody></table></td></tr></tbody></table><br><p>&nbsp;</p><br><p>&nbsp;</p></div></div></div></td></tr></tbody></table><br></div><br> <!-- -->
'기독 ,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악산 봉선사 탐방 2020. (0) 2020.11.24 누가 묻거든 (0) 2020.11.20 ★2★ 용문산 용문사 탐방길에서 (0) 2020.11.06 ★1★ 용문산 용문사 탐방길에서 (0) 2020.11.06 이 가을, 경주 불국사에는 (0) 20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