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버님 제가 착각을 했습니다
    이웃 2020. 11. 2. 16:58

     


    아버님 제가 착각을 했습니다 


     


    오래전 한 선생님이 있었습니다.
    그 선생님은 임용고시에 합격하고 처음으로 담임을 맡았는데
    60명 가까이 되는 반 학생들의 이름을 외우는 일도
    너무나 힘겨워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길에서 학부모 한 분을 만났습니다.
    학부모는 자신의 아이 이름을 말해 주었지만
    선생님은 그 학생이 누군지 기억해 내는 데
    조금 시간이 걸렸습니다.

    가까스로 그 학생이 누구인지 생각해낸 선생님은
    학부모에게 반갑게 말했습니다.

    "자녀분이 이번 시험에서 3등을 했습니다.
    이렇게 열심히만 하면 앞으로 좋은 결실을 볼 거라
    기대되는 학생입니다."

    다음날 학교에서 학적부와 성적표를
    다시 살펴본 선생님은 크게 당황했습니다.
    다른 학생과 착각을 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선생님이 학부모에게 칭찬했던 학생은
    중위권 성적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참으로 난처했습니다.
    다음 시험의 성적표를 받아 볼 학부모는
    크게 실망하고 심지어 화를 낼지도 모를 일이었습니다.
    어쩌면 자신의 실수 때문에 죄 없는 학생이
    부모로부터 크게 곤혹을 치를지도
    모를 일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자신의 실수를 바로잡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그 방법은 학부모에게 자신의 실수를
    고백하고 사죄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학생을
    우등생으로 키워 보기로 한 것입니다.

    선생님은 상담을 통하여 학습 방법의
    결함도 찾아보고, 학생의 긴장이 풀린 것 같으면
    따로 불러서 격려도 했습니다.

    그런데 한 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급의 다른 학생들의 학습지도도
    좋아졌고 덕분에 그 선생님의 반 학생들의 성적이
    모두 좋아져 많은 학생들이 대학으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처음 이름을 착각했던 학생도
    원하는 대학에 당당히 합격했습니다.

    졸업식에 찾아온 그 학부모는 선생님의
    손을 잡고 너무도 감사해했습니다.
    그런 학부모의 행동에 선생님은 속으로
    말했습니다.

    '아버님! 사실은 그때 제가 착각을 했습니다.
    거짓말을 한 것처럼 된 저의 실수를
    메우기 위해서 노력했던 것이지, 결코 제가
    훌륭해서가 아닙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합니다.
    그런데 그 실수를 받아들이는 자세는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실수와 실패에 좌절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그저 변명만 하며
    달아나려 합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 실수와 실패를
    기회로 삼아 오히려 더욱 발전합니다.
    우리도 실수를 기회로 만들어보는
    긍정적인 사람이 되어보세요.


    # 오늘의 명언
    실수와 착오가 일어나도 실망하지 말라.
    자기의 실수를 깨닫는 것처럼 공부가 되는 것은 없다.
    그것은 자기를 교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이다.
    – 칼라일 –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꽃을 당신에게  (0) 2020.11.04
    인생에서 기억해야 할 지혜  (0) 2020.11.02
    마음을 찍는 사진기  (0) 2020.11.02
    작은아버지의 장례식장  (0) 2020.11.02
    수작. 짐작. 참작. 작정  (0) 2020.10.31
Designed by Tistory.